본문 바로가기
딩크 부부의 경제 전략

딩크 부부의 경제 전략 기반 자산 증식 플랜: 1억 만들기 월별 예산 공개

by be1blog-o 2025. 6. 27.

자녀 없이 맞벌이를 하는 딩크(DINK: Double Income, No Kids) 부부는 일정 수준 이상의 소득을 유지하면서도 교육비나 양육비에 대한 부담이 없다는 점에서 자산 축적의 속도가 빠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득이 많다고 해서 자연스럽게 돈이 모이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오히려 소비가 분산되고 생활 패턴이 자유로워질수록 계획 없는 지출로 인해 자산이 잘 쌓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한 해에 1억 원을 모은다”는 목표를 갖고 있는 딩크 부부라면, 보다 정교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소득 구조, 소비 성향, 투자 계획, 보험 설계, 비상금 운영 등 모든 재무 요소를 재조정하고, 이를 월별로 구조화해 실행 가능한 플랜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1억 자산을 만들기 위한 12개월 플랜을 구성해보며, “딩크 부부의 경제 전략” 관점에서 월별 예산표를 어떻게 짜야 하는지, 무엇을 줄이고 무엇을 유지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목표는 단순히 돈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자산 증식 구조’를 만들고, 그 흐름을 생활 안에 녹여내는 것입니다.

 

연간 목표부터 설정하세요: ‘1억 만들기’를 쪼개는 전략이 시작입니다

많은 분들이 “1억을 모아야지”라는 생각은 하지만, 그것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어떤 흐름으로 이룰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먼저 1억 원을 12개월로 나누면, 단순히 계산하더라도 매월 약 833만 원을 저축하거나 투자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옵니다. 물론 모든 달이 동일한 자산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실제 플랜에서는 월별 목표를 유동적으로 설정하고 분기 단위로 목표를 재검토하는 방식이 효율적입니다.

예를 들어, 상반기에는 소비를 줄이고 저축률을 극대화해 기반을 마련하고, 하반기에는 투자 수익과 추가 수입으로 부족분을 메우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별한 지출이 예상되는 달(예: 명절, 휴가철 등)에는 그 달의 목표를 완화하고, 그 대신 앞뒤 달에 보충하는 방식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딩크 부부의 경제 전략은 단순 절약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종합적으로, 연간 수입과 소비의 흐름 전체를 디자인해야만 이를 달성할 수 있지요. 이를 위해선 목표 금액을 쪼개고, 일정표에 녹여내는 ‘재무 캘린더’ 시스템을 먼저 구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딩크 부부의 경제 전략 기반 자산 증식 플랜. 어떻게 하면 1억을 만들수 있을지에 대한 현실적인 월별 예산 공개

 

월별 예산표 설계: 딩크 부부의 평균 소득과 지출 패턴을 기준으로

이제 본격적으로 월별 예산 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 딩크 부부의 평균 소득은 부부 합산 기준으로 월 600만 원에서 900만 원 수준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평균적인 조건으로 월 800만 원 소득을 기준으로 월 예산표를 구성해보겠습니다. 단순한 예시가 아닌, 실제로 구성가능한 구조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월별 예산 구조 예시 (총소득 800만 원 기준)

  • 고정비 (총 155만원)
    • 주거비(전세대출이자 또는 월세): 80만 원
    • 공과금 및 통신비: 25만 원
    • 보험료(2인 기준 실손 + 건강보험): 30만 원
    • 교통비: 20만 원
  • 생활비 (총 110만원)
    • 식비(외식 포함): 60만 원
    • 쇼핑 및 기타 유동비: 30만 원
    • 여가비 및 구독 서비스: 20만 
  • 저축 및 투자 (총 500만원)
    • 정기적금: 200만 원
    • 연금저축/IRP: 100만 원 (각자 50만 원)
    • ETF 및 주식 투자: 150만 원
    • 비상금 및 현금 예비자산: 50만 원

이처럼 월 800만 원 수입 중 500만 원 이상을 자산 증식에 활용할 수 있다면, 1년 후에는 투자 수익을 제외하더라도 6,000만 원 이상의 순저축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추가적인 상여금, 투자 수익, 부업 수입 등을 더하면 1억 원이라는 목표가 결코 비현실적이지 않게 됩니다.
딩크 부부의 경제 전략은 바로 이런 ‘현실적인 수치 기반의 자산 설계’에서 시작됩니다.

 

소득을 늘리는 전략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지출만 통제해서는 한계가 있고 삶의 질도 많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특히 1억이라는 목표는 어느 정도 소득의 상승 또는 부가 수입이 함께 뒷받침되어야 현실화됩니다. 딩크 부부는 맞벌이 구조이기 때문에 본업 외에도 소규모 부업, 재택 아르바이트, 디지털 콘텐츠 수익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부수입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나 블로그를 통한 애드센스 수익, 스마트스토어 운영, 재능마켓(탈잉, 클래스101 등)에서 강의 활동을 통해 매월 30만~50만 원 수준의 수익을 올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수입이 단기에는 크지 않더라도 1년 단위로 보면 수백만 원의 추가 자산이 됩니다. 특히 이러한 수익은 본업 수입과 달리 ‘전부 저축으로 돌릴 수 있는 여유 자산’이기 때문에 자산 증식에 큰 기여를 하게 됩니다.

딩크 부부의 경제 전략은 단지 절약하는 것이 아니라, 본업을 기반으로 수익 구조를 분산하고, 위험을 줄이며 자산을 빠르게 불려 나가는 구조 설계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1년 플랜의 핵심은 ‘흐름의 지속성’입니다

가장 많은 분들이 실수하는 부분은 초반 몇 개월만 열정적으로 예산을 관리하다가 흐지부지 포기하게 되는 패턴입니다. 자산을 쌓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속도보다는 지속성 있는 관리 시스템입니다. 매달 가계부를 쓰거나 예산표를 꼼꼼히 기록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다만 매월 말, 한 달의 지출과 자산 변화 흐름을 간단히 정리하고 피드백하는 루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부부가 함께 목표를 공유하고 체크하는 시간이 정기적으로 필요합니다. 월 1회, 커피 한 잔을 마시며 자산 상황을 체크하고 “이번 달에는 뭘 줄였고, 뭘 아꼈는지” 이야기하는 시간만으로도 경제적 파트너십이 강해지고, 목표를 향한 동기 부여가 유지됩니다.

1억이라는 숫자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과정을 통해 형성된 금융 습관과 시스템입니다.
결국 딩크 부부의 경제 전략은 특정 금액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에도 계속 자산이 흐르고 늘어나는 구조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오늘부터 실천할 수 있는 월별 계획표로, 딩크 부부들만의 1억 플랜을 시작해보시기 바랍니다.